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Django
- python
- 머신러닝
- IT자격증
- 리눅스활용
- 코딩
- 정처기
- 프로그래밍
- 정보처리기사기출
- 기사자격증
- Linux
- 정처기실기
- C
- 리눅스마스터2급2차
- 리눅스명령어
- 웹개발
- 자격증
- SW
- IT
- AI
- 장고
- 리눅스마스터
- Java
- 리눅스
- 정처기기출
- 리눅스자격증
- 공부블로그
- 리눅스마스터2급
- 정보처리기사실기
- 정보처리기사
- Today
- Total
목록Coding/etc (2)
Tech Trail

SEO의 기본SEO(검색엔진 최적화, Search Engine Optimization)는 많은 사용자들이 구글,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으로 웹사이트를 검색했을 때 그 결과를 페이지 상단에 노출시켜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방법입니다. 앱의 배포가 완료된 이후에 SEO 관리를 하며 지속적으로 많은 사용자의 유입을 추구해야 합니다. 지금부터 간단하게 SEO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1. 캐노니컬 태그 설정캐노니컬 태그는 한 페이지를 가리키는여러 개의 주소가 존재할 때, 검색 엔진의 로봇이 어떤 주소가 원본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이다.당신이 검색엔진의 로봇이라고 생각해보자. 수집한 주소 중 몇 개의 주소가 같은 페이지를 가리키고 있다. 그렇다면 다음 중 어떤 주소가 페이지를..
"새 데이터를 처리한 뒤, 필요한 기존 데이터만 가져와 작업 흐름을 단순화하라." 1. 문제 요약발생 날짜: 2024.11.20.문제 제목: 데이터베이스 작업 중 메모리 비효율 문제문제 설명:Django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기존 기사를 먼저 모두 가져온 뒤, 새 기사를 처리하고, 두 결과를 합쳐 사용하는 로직이 과도한 메모리 사용 문제를 초래.특히, 기존 기사, 새 기사, 합친 기사 데이터를 모두 메모리에 적재하면서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 및 메모리 낭비 발생. 2. 발생 배경Django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 쿼리를 받아 네이버 뉴스 API에서 새 기사를 가져온 뒤, 기존 데이터와 비교 및 추가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 구현 중 의문점 발생.기존 코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 ..